질병관리청(청장 지영미)은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「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」을 주제로 2025년 「국민건강통계플러스」 첫 요약통계를 발간하였다.
「국민건강통계플러스」는 국가건강조사 결과를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수준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로, 2021년부터 매년 발간*되고 있다.
* 요약통계, 현안보고서, 심층보고서 등 세 가지 형태로 발간
[신체활동 추이, 2015~2024년]
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매년 유산소 신체활동(하루 60분 이상 신체활동, 고강도 신체활동), 근력강화운동, 주중/주말 앉아서 보낸 시간 등을 조사하여 신체활동 현황을 파악한다.
특히 2022년에는 신체활동 심층조사를 실시하여 ▲걷기 실천 일수, ▲등하교/등하원 시 신체활동 일수, ▲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, ▲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 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.
최근 10년 간(2015~2024년) 신체활동 실천율(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, 주 3일 이상 근력강화운동 실천율)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, 남학생이 여학생보다,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.
국외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,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146개 국가 중 가장 낮았고(WHO, 2016년 기준)*,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미국에 비해 약 30%p(YRBS, 2023년 기준)** 낮은 수준이었다
[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건강행태]
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(2022년 기준),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하는 청소년은 남학생 59.8%, 여학생 55.2%이었고, 주 1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에 직접 운동을 한 경우는 남학생 82.3%, 여학생 79.3%이었다.
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여 정도에 따라 참여*와 미참여 군으로 구분 시, 걷거나 체육활동 등에 적극 참여한 학생은 미참여 군에 비해 아침식사 결식, 스트레스 인지 등이 낮아 건강행태가 더 양호하였고, 비만율도 참여군 10.3%, 미참여 군 11.8%로 참여군에서 더 낮았다.
* (신체활동 참여군) 주 5일 이상 10분 이상 걷기 실천, 주 5일 이상 등하교/등하원 시 신체활동, 주 3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, 1개 이상 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를 모두 충족